기획재정

[국회의원 최기상] 플랫폼 노동 등 비임금 노동 청년·노년층 증가율 높아, 청년·여성 저임금

  • 게시자 : 국회의원 최기상
  • 조회수 : 14
  • 게시일 : 2024-10-23 10:06:36


 

 

플랫폼 노동 등 비임금 노동 청년·노년층 증가율 높아, 청년·여성 저임금

2260세 이상 비임금 노동자 18년 대비 86.6% 증가, 30세 미만도 43.8% 증가

22년 여성 비임금 노동자 남성 비임금 노동자보다 549,268명 많아

22년 비임금 노동자 1인 평균소득 30세 미만 연간 722만원, 301,247만원

22년 남성 1인 평균소득 연간 1,312만원, 여성 944만원 성별 소득격차 여전

  배달대행 등 플랫폼 노동을 비롯해 골프장캐디 등 특수고용노동자와 대리운전기사와 각종 프리랜서 등 비임금 노동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세 이상과 30대 미만의 증가율이 높았다. 이들 대부분이 임금이 연간 1천만 원을 넘지 않는다는 점에서 노년과 청년을 중심으로 경제위기의 가능성이 커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인적용역 사업소득 원천징수 자료에 따르면 병·의원 종사자를 제외한 플랫폼·특수고용·프리랜서 등 비임금 노동자는 20186042,288명에서 20228377,056명으로 2334,768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대비 38.6%가 증가한 수치다.

  현행 소득세법 및 시행령은 부가가치세법에서 정하는 특정 대상에 대해서는 사업자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사업소득 일부를 원천징수하고 있다. 이중 고용 관계없이 일의 성과에 따라 수당이나 이와 유사한 성질의 대가를 받는 형태를 인적용역이라 한다.

  문제는 이들의 상당수가 노동법을 적용받지 못하는 사실상 노동자라는 것이다. 고용과 관계없이 일의 성과에 따라 수당을 받아 사실상 근로소득에 해당하지만, 세법상으로 근로소득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적용역 사업소득 징수자가 증가했다는 것은 노동자의 권리 보호가 취약해지고, 고용불안이 커져 사회안전망이 약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지난 822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는 콜센터 교육생·헬스트레이너·외주제작사 방송작가 등 130명이 노동자성 인정을 요구하는 진정을 제기하기도 했다.

  문제는 이러한 비임금 노동자가 노년층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202260세 이상 비임금 노동자는 2018년에 699,098명이었으나, 20221304,252명으로 605,154명이 증가해 86.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다음으로는 30세 미만 청년층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30세 미만의 비임금 노동자는 2018년에 1413,089명이었으나, 2022년에는 2032,544명으로 43.8%가 증가했다. 30세 미만 비임금 노동자의 급격한 증가는 2022년 전체 비임금 노동자 중 30세 미만이 전체 연령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같은 기간 1284,758명으로 49.0% 증가했고, 여성이 1062,938명 증가해 3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 중 남성의 증가 폭이 컸지만, 여전히 여성 비임금 노동자가 남성 비임금 노동자보다 많았다. 2022년 여성 비임금 노동자는 4455,593명으로 남성 3906,325명에 비해 549,268명이 많았다.

  비임금 노동자 증가의 문제는 상당수가 저임금 노동자이기 때문이다. 국세청 제출자료 증 2022년 비임금 노동자에게 지급된 연간지급금액 총액을 해당 연도 인원으로 나누어 1인 평균지급액을 산출한 결과 연간 평균소득이 1,114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청년과 노년층의 소득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세 미만 20대의 경우 1인 평균지급액은 연간 천만 원에도 못 미치는 722만 원에 불과했다. 30대도 1,247만 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노년층인 60세 이상의 경우 1인 평균지급액은 연간 952만 원에 불과했다. 성별 임금격차도 여전해 남성은 연간 1,312만 원을 받았지만, 여성은 944만 원을 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기상 의원 청년과 노년 인구를 중심으로 비임금 노동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남성과 여성의 비임금 노동자 소득 격차도 여전하다, “기존의 무늬만 노동자에 추가로 플랫폼 노동의 증가로 노동법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 약자의 보호를 위해 정부는 정확한 통계 작성 및 노동권 보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1> 인적용역 사업소득 원천징수 현황(병의원 제외)

(, %) 

귀속연도

2018(A)

2019

2020

2021

2022

인원(B)

증감(B-A)

증감율(%)

전체

6,042,288

6,596,783

6,950,461

7,780,931

8,377,056

2,334,768

38.6%

남성

2,621,567

2,961,999

3,190,048

3,605,823

3,906,325

1,284,758

49.0%

여성

3,392,655

3,600,376

3,740,806

4,159,012

4,455,593

1,062,938

31.3%

기타

28,066

34,408

19,607

16,096

15,138

-12,928

-46.1%

30세 미만

소계

1,413,089

1,584,218

1,642,734

1,867,224

2,032,544

619,455

43.8%

677,561

777,223

822,614

931,493

1,002,111

324,550

47.9%

735,528

806,995

820,120

935,731

1,030,433

294,905

40.1%

30세 이상

소계

1,217,628

1,268,656

1,326,098

1,476,922

1,522,527

304,899

25.0%

541,737

591,994

640,827

720,382

753,137

211,400

39.0%

675,891

676,662

685,271

756,540

769,390

93,499

13.8%

40세 이상

소계

1,452,022

1,520,485

1,576,157

1,710,707

1,786,170

334,148

23.0%

592,993

647,820

684,913

755,189

797,634

204,641

34.5%

859,029

872,665

891,244

955,518

988,536

129,507

15.1%

50세 이상

소계

1,232,343

1,360,940

1,440,394

1,592,723

1,716,386

484,043

39.3%

507,862

580,167

620,370

695,362

757,047

249,185

49.1%

724,481

780,773

820,024

897,361

959,339

234,858

32.4%

60세 이상

소계

699,098

828,039

945,433

1,117,218

1,304,252

605,154

86.6%

301,403

364,783

421,309

503,385

596,385

294,982

97.9%

397,695

463,256

524,124

613,833

707,867

310,172

78.0%

   

 

<2> 2022년 인적용역 사업소득 연간지급액 및 1인 평균 현황(병의원 제외)

(, 백만원, 만원)

 

구분

인원(A)

연간지급금액(B)

소득세 (원천징수분)

1인 평균지급액(B/A)

전체

8,377,056

93,361,450

2,787,292

1,114

남성

3,906,325

51,232,890

1,522,465

1,312

여성

4,455,593

42,076,926

1,263,194

944

기타

15,138

51,634

1,633

341

30세 미만

소계

2,032,544

14,684,979

438,663

722

1,002,111

7,805,849

231,910

779

1,030,433

6,879,130

206,753

668

30세 이상

소계

1,522,527

18,985,861

570,480

1,247

753,137

11,098,252

333,263

1,474

769,390

7,887,609

237,217

1,025

40세 이상

소계

1,786,170

24,406,838

725,537

1,366

797,634

13,686,879

403,633

1,716

988,536

10,719,959

321,904

1,084

50세 이상

소계

1,716,386

22,816,652

680,228

1,329

757,047

12,035,577

356,902

1,590

959,339

10,781,075

323,326

1,124

60세 이상

소계

1,304,252

12,415,057

370,738

952

596,385

6,606,136

196,751

1,108

707,867

5,808,921

173,987

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