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민 10명 중 6명 (57.8%), 청와대 영수회담 필요하다”

  • 게시자 : 더불어민주당
  • 조회수 : 173
  • 게시일 : 2009-12-21 11:26:30
민주정책연구원_최근현안관련 여론조사결과 발표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에서는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정책 및 현안과 관련하여 국민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12월 19일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643명을 대상으로 긴급 ARS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했다(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3.86%p)


“국민 10명 중 6명 (57.8%), 청와대 영수회담 필요하다”


○ 4대강 예산 삭감여부를 둘러싸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에 해당하는 57.8%는 여야 대치정국을 해소하기 위해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청와대 영수회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반면 필요 없다는 의견은 15.7%에 그쳤다. 영수회담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성별, 연령, 직업, 정당 지지성향(민주당: 63.7%, 한나라당: 58.6%, 무당층: 54.1%)과 상관없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남성(65.4%), 30代(61.1%)/40代(62.1%), 화이트칼라(62.8%)/자영업자(66.6%), 대재이상 高학력층에서는 60%이상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국민 10명 중 8명(81.6%), 영수회담 의제, 대통령 해외순방 성과 뿐 아니라 4대강과 세종시, 내년도 예산안 처리문제도 논의해야”


○ 국민 10명 중 8명(81.6%)에 해당하는 압도적 다수는 청와대 영수회담 의제로 대통령의 해외순방 성과 뿐 아니라 전 국민적 관심사인 4대강과 세종시, 그리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 처리문제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와 같은 의견은 성별, 연령, 직업, 거주지역, 정당 지지성향과 상관없이 80% 안팎으로 고르게 높았다. 반면 청와대 주장대로 대통령의 최근 해외순방 성과 설명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은 7.0%로 한 자릿수에 그쳤다


“국민 압도적 다수(73.6%), 내년 예산안 여야 영수회담 통해 합의처리해야”


○ 국민 10명 중 7명이 넘는 73.6%는 내년도 예산안 처리는 여야 영수회담 논의를 거쳐 절충안을 마련해 합의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반면, 야당의 4대강 예산 삭감 요구와 상관없이 여당이 강행처리해도 무방하다는 의견은 16%에 불과했다. 여야 영수회담 통한 합의처리 의견은 성별, 연령, 직업과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75% 안팎으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으며, 한나라당 지지층도 강행처리(34.3%) 보다 합의처리(56.1%) 의견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훨씬 높았다


“국민 과반수(52.4%), 민주당, 예산안 투쟁 잘하고 있다”


○ 민주당이 한나라당의 예산소위 구성 강행처리를 저지하고, 4대강 예산 중 대운하로 의심되는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대신 교육과 복지 예산 확충을 주장하며 예결위 회의장을 점거하는 등 민주당 예산안 투쟁에 대해 국민 과반수인 52.4%는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를 내렸다. 즉 국민 2명 중 1명은 민주당 예산안 투쟁에 대해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37.5%로 나타났다. 민주당이 예산안 투쟁을 잘하고 있다는 의견은 20代(62.1%)/30代(59.3%) 저연령층 뿐 아니라 40代(57.1%)와 화이트칼라(73.9%)/학생(62.8%), 대재이상 高학력층(58.7%)에서 60% 안팎으로 매우 높았으며,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72.2%로 절대적 지지를 보냈다


“국민 과반수(54.1%), 검찰의 한명숙 전총리 수사는 조작수사”


○ 국민 과반수인 54.1%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에 대한 검찰수사가 짜맞추기 조작수사라는 주장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30.6%로 나타났다. 검찰의 조작수사에 공감한다는 의견은 20代(62.6%)/30代(63.4%)/40代(60.5%), 화이트칼라(75.6%)/블루칼라(65.1%), 대재이상 高학력층(60%), 호남(61.4%)/부산울산경남(60.2%), 민주당 지지층(76.5%)에서 60%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서울(56.3%)과 대구경북지역(50.7%)에서도 과반수를 차지했다


2009년 12월 20일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