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당규 개정 토론 당원권 강화 토론게시판

기존의 대의원 대신, 퍼실리테이터 활성화 해야 합니다.

  • 2024-06-04 17:29:53
  • 48 조회
  • 댓글 0
  • 추천 1

대의원 제도는 과거 정보가 폐쇄되고,

전국적인 기반이 취약하던 오프라인 당시의 

정치 환경에 대한 집착이며 미련 입니다.

정보의 개방성을 넘어서, 범람하는 시대

정당은 과수용된 정보 환경을 정돈하여

정책으로 수렴해야 하는데,

여전히 과거를 답습하고 있습니다.

정당을 이끌어갈 지도부를 선출하는데,

대의원 권리당원 구분이 필요할까요?

물론 대의원제도는 상시적으로 정당의

궂은 일을 도맡아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의원/권리당원의 구분하는 방식은

경직된 정치문화를 생성하고, 250만 권리당원은

능동성을 잃어갑니다. 

현재의 대의원 제도 선출 시스템 자체가 

폐쇄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상향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일정 소규모 단위의 소모임에서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이 안에서 도출된 생각들이 취합되고 최종적으로 수렴되어

세밀한 정책으로 완성되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여전히 표결에 의미두는 접근이 아닌,

근본적으로 대의원의 정통성을 정치활성화를 위한 

역량조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번번히 빠듯한 일정에 당원의 소리 듣겠다고 간담회 마련하면

중구난방 느끼시는 바 아닌가요? 먼 길 한달음에 온 당원의 

시간을 생산적으로 반영할 기획이었다면 참석한 당원들끼리 

특정 주제를 놓고 생각을 정리해서 수렴한다면 훨씬 능동적인 

주최가 될 것 입니다. 그럴때 회의를 촉진하는 퍼실리테이터가

곳곳에 있다면 훨씬 체계적으로 토의가 이뤄질 것 입니다. 

경계가 불분명한 것은 굳이 연령 세대 계층별로 나누려 하지 않는 것을 

당헌 당규에 명기하는 노력이 선행되면 좋겠습니다. 

현재 대학생 위원회 / 청년 위원회 이원화 되어 있는 구조도 혁신해야 합니다.


댓글

최신댓글

신고하기
신고 게시물은 삭제되며, 해당 게시물을 올린 유저는 덧글쓰기 및 글쓰기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오니, 그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